2023 세계 바이오 서밋

프로그램

11월 20일 프로그램

14:00 ~

15:40

개회식

그랜드볼룸, 3층


16:00 ~

18:20

세션 1. 팬데믹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규제 고찰


파크볼룸, 5층


개회식
11월 20일(월)
14:00~15:40 
 그랜드볼룸, 3층
14:00∼14:40
개회

개회사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Tedros Adhanom Ghebreyesus

 WHO 사무총장 *영상 

축사

Susan Nakhumicha Wafula

케냐 보건부 장관


Sanjeev Kumar Balyan

인도 축산낙농부 장관


신동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Fatima Yasmin

아시아개발은행(ADB) 부총재 *영상

14:40~14:50
단체사진
14:50~15:40
기조연설

Catharina Boehme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차장

지영미

한국 질병관리청장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Darrin Morrissey

아일랜드국립바이오

전문인력양성센터(NIBRT)대표

Marie-Ange Saraka-Yao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최고파트너십책임자

[ 세션1 ] 팬데믹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백신, 의약품, 진단기기 생산 및 규제 감시 강화
11월 20일(월)
16:00~18:20
 파크볼룸, 5층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백신 및 치료제에 대한 접근성은 공중보건에 중대한 역할을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필수 의료 제품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적절한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의약품의 품질, 안전성 및 효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규제 감시가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국가 간 규제 역량의 심각한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모든 국가 규제 기관(NRA) 중 30%만이 필수 규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의약품의 안전성, 효능 및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완전히 운영 가능한 규제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규제 감시는 강력한 규제 생태계를 구축하여 품질 중심의 지속 가능한 지역 백신 생산 기반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명확한 규제 지침 및 기준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지역 백신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16:00~16:05
개회

나성섭

아시아개발은행(ADB) 부그룹장

16:05~16:15
중저소득국의 팬데믹 대비 및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규제 시스템 및 백신, 의약품,
진단기기 생산 지원 방안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16:15~16:20
팬데믹 대비를 위한 라오스의 
규제 강도 및 과제에 대한 인사이트

Phayvanh Keopaseuth

라오스 보건부 차관

16:20~16:50
백신, 의약품 및 진단기기 생산 관련 국가별 교훈
[좌장]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발표자] 
박영란

한국 유바이오로직스 이사 


Sudeep Kumar 

인도 Biological E 부대표 


Morena Makhoana 

남아프리카공화국 Biovac 대표

16:50~17:20
규제 역량 개발 관련 사례 발표

[좌장] 

John Skerritt

멜버른대학 교수


[발표자]

박윤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원장


Yvonne Nkrumah

가나 식품의약청 부대표


Rogério Gaspar

세계보건기구(WHO) 규제 및 사전인증국장

17:20~18:20
패널토론: 
도전과제 및 향후 방향성: 
백신, 의약품 및 진단기기 
제조 부문 규제 지원

[좌장]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패널]

John Lim

듀크 싱가포르의과대학 교수


John Skerritt

멜버른대학 교수


Sudeep Kumar

인도 Biological E 부대표


[보고]

김재균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전문가


11월 20일 프로그램


14:00~15:40

개회식그랜드볼룸, 3층

16:00~18:20

세션 1. 팬데믹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백신, 의약품, 진단기기 생산 및 규제 감시 강화
파크볼룸, 5층
개회식
11월 20일(월) 14:00~15:40    I   그랜드볼룸, 3층
시간
구분
주요 내용
연사
14:00~14:40
개회
개회사

조규홍

보건복지부 장관


Tedros Adhanom Ghebreyesus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총장 *영상

축사

Susan Nakhumicha Wafula

케냐 보건부 장관


Sanjeev Kumar Balyan

인도 축산낙농부 장관


신동근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위원장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Fatima Yasmin

아시아개발은행(ADB) 부총재 *영상

14:40~14:50
단체사진
14:50~15:40
기조연설
Catharina Boehme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차장


지영미

한국 질병관리청장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Darrin Morrissey 

아일랜드국립바이오전문인력양성센터(NIBRT) 대표


Marie-Ange Saraka-Yao

세계백신면역연합(Gavi) 최고파트너십책임자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세션1] 팬데믹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백신, 의약품, 진단기기 생산 및 규제 감시 강화
11월 20일(월) 16:00~18:20   I   파크볼룸, 5층


안전하고 효과적인 의약품, 백신 및 치료제에 대한 접근성은 공중보건에 중대한 역할을 한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필수 의료 제품에 대한 신뢰할 수 있고 적절한 접근의 중요성이 강조되었다. 

그러나 의약품의 품질, 안전성 및 효능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규제 감시가 필요하다.


세계적으로 국가 간 규제 역량의 심각한 격차가 나타나고 있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모든 국가 규제 기관(NRA) 중 30%만이 필수 규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역량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의약품의 안전성, 효능 및 품질을 보장하기 위해서는 효과적인 완전히 운영 가능한 규제 시스템이 필수적이다. 

규제 감시는 강력한 규제 생태계를 구축하여 품질 중심의 지속 가능한 지역 백신 생산 기반을 만드는 데 핵심적인 역할을 한다. 

명확한 규제 지침 및 기준은 안전하고 효과적인 지역 백신 개발을 촉진할 수 있다.


시간
프로그램
연사
16:00~16:05
개회

나성섭

아시아개발은행(ADB) 부그룹장

16:05~16:15
중저소득국의 팬데믹 대비 및 대응 역량 강화를 위한 
규제 시스템 및 백신, 의약품, 진단기기 생산 지원 방안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16:15~16:20
팬데믹 대비를 위한 라오스의 규제 강도 및 과제에 대한 인사이트

Phayvanh Keopaseuth

라오스 보건부 차관

16:20~16:50
백신, 의약품 및 진단기기 생산 관련 국가별 교훈

[좌장]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발표자]

박영란

한국 유바이오로직스 이사


Sudeep Kumar

인도 Biological E 부대표


Morena Makhoana

남아프리카공화국 Biovac 대표

16:50~17:20
규제 역량 개발 관련 사례 발표

[좌장]

John Skerritt

멜버른대학 교수



[발표자]

박윤주

한국 식품의약품안전평가원 원장


Yvonne Nkrumah

가나 식품의약청 부대표


Rogério Gaspar

세계보건기구(WHO) 규제 및 사전인증국장

17:20~18:20
패널토론:

도전과제 및 향후 방향성:

백신, 의약품 및 진단기기 제조 부문 규제 지원

[좌장]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패널]

John Lim

듀크 싱가포르의과대학 교수


John Skerritt

멜버른대학 교수


Sudeep Kumar

인도 Biological E 부대표



[보고]

김재균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전문가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2023 세계 바이오 서밋 사무국

E-mail: worldbiosummit@gmail.com

@Copyright WORLD BIO SUMMIT 2023.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