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세계 바이오 서밋

프로그램

11월 21일 프로그램

09:00 ~

11:00 

세션 2. 

팬데믹 대응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가속화

파크볼룸,

5층


13:00 ~

15:00

세션 3. 

글로벌 체외진단 

산업의 성장을 위한 

국제적 지원 방향성과 

한국의 역할

파크볼룸,

5층


15:20 ~

17:20

세션 4. 

감염병혁신연합(CEPI) 

100일 미션을 통한 

글로벌 대응능력 강화

그랜드볼룸,

3층


17:30 ~

18:00

폐회식

그랜드볼룸,

3층


[ 세션2 ] 팬데믹 대응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가속화
11월 21일(화)
09:00~11:00
파크볼룸, 5층

코로나19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동안, 특정 국가와 제약사는 단시간에 치료제를 개발하였다. 팬데믹 이후, 치료제 개발, 생산, 공급 전반에 걸친 기술 혁신과 글로벌 협력 강화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 세계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신종 감염병의 확산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치료제의 적시 개발, 제조, 공급이 중요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과 협력이 요구된다. 본 세션에서는 '팬데믹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가속화'라는 주제로, 바이오산업 대표, 정부, 국제기구, 국제 재단, 글로벌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참가자가 참석하여 신종 감염병 치료제 관련 미래 전략과 비전을 제시하고, 넥스트 팬데믹 대비를 위한 글로벌 투자 정책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09:00~09:10
개회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 소장

09:10~09:20
세부 내용 소개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 총국장(대행)

09:20~09:50
감염병 팬데믹 대비 대응 역량강화

Carmen Pérez Casas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PPPR팀 매니저


Jicui Dong

세계보건기구(WHO) 규제 및 사전 인증 부서(RPQ) 

지역 생산 및 지원부 부장

09:50~10:30
치료제 개발, 생산, 공급 경향 및 
글로벌 치료제 연구 협력 다변화 전략

묵현상

한국 국가신약개발재단(KDDF) 단장


Seamus O'Brien

항생제 연구개발 파트너쉽(GARD-P) R&D 총괄책임자


이수영

한국 셀트리온 전무


Petro Terblanche

아프리젠 대표

10:30~10:50
치료제 개발 역량강화 가속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

[좌장]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 총국장(대행)


[패널]

Hayato Urabe

일본 글로벌헬스기술진흥기금(GHIT) 부대표


Carmen Pérez Casas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PPPR팀 매니저


Jicui Dong

세계보건기구(WHO) 규제 및 사전 인증 부서(RPQ) 

지역 생산 및 지원부 부장


묵현상

한국 국가신약개발재단(KDDF) 단장


Seamus O'Brien

항생제 연구개발 파트너쉽(GARD-P) R&D 총괄책임자


이수영

한국 셀트리온 전무


Petro Terblanche 

아프리젠 대표

10:50~11:00
폐회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HERA) 총국장(대행)

[ 세션3 ] 글로벌 체외진단 산업의 성장을 위한 
국제적 지원 방향성과 한국의 역할
11월 21일(화)
13:00~15:00
파크볼룸, 5층

코로나19 팬데믹이 마무리되어 가는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 제76차 세계보건총회(‘23년 5월)에서 진단분야 글로벌 보건 역량 강화를 위한 의제가 통과됨에 따라, 국제진단연합(International Diagnostic Alliance) 형성 등의 국제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취하게 될 방향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한국은 정부, 산업계, 유관학회와 유기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조기에 전국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정착시킨 과정과 경험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가 미래의 감염병 대응에 있어서 한국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나아가 한국의 진단검사 역량은 미래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및 글로벌 보건 형평성 증진을 위한 노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것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따라 진단으로 감염병 확산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한국이 전세계 보건의료체계에서 가지는 기대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13:00∼13:05
축사
Youk Sambath

캄보디아 보건부 차관

13:05∼13:10 
미래 글로벌 보건 및
감염병 대응체계에서 진단기기의 중요성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13:10∼13:20
차세대 시장 형성 접근법과
확대되는 진단의 역할 
Hui Yang 

글로벌펀드 공급운영국장

13:20∼13:30
진단기기 AI기술 활용 글로벌 동향 
Ricardo Baptista Leite 

헬스에이아이(HealthAI) 대표  

13:30∼13:40
진단분야 WHA 결의안에 따른 
진단 역량 강화  
Catharina Boehme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차장 

13:40~14:05
진단분야 WHO 의제에 따른
한국의 역할 
[좌장]

이훈상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 (RIGHT Foundation) 이사


[패널]

Catharina Boehme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차장


Marta Fernández Suárez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최고기술경영자


Nqobile Ndlovu

아프리카 진단검사의학회 대표 


이상원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장

14:05~14:15
체외진단의료기기 
품질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 
이승용

식품의약품안전처 혁신진단기기정책과장  

14:15~14:25
국내 진단검사의 우수성과 
각국 학회 간 협력방안 
윤여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학술이사  

14:25~14:50
전 세계 진단 개발·생산 촉진을 위한 한국의 협력방안
[좌장]

황성은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화장품산업단장


[패널]

이승용

식품의약품안전처 혁신진단기기정책과장


윤여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학술이사 


박한오

한국 바이오니아 대표  


김성열

한국 씨젠 글로벌마케팅센터장


14:50∼15:00
폐회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 세션4 ] 감염병혁신연합(CEPI) 100일 미션을 통한 글로벌 대응능력 강화
11월 21일(화)
15:20~17:20
그랜드볼룸, 3층

팬데믹 뿐만 아니라 엔데믹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CEPI 100일 미션 이행에 대해 논의하고 실행 전략을 세우고자 한다. CEPI 100일 미션은 기업, 학계, 정부 및 국제기구를 포함한 주요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을 촉진할 것이다. 본 세션에서는 CEPI 100일 미션에 대해 발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지원 및 관심을 촉구할 예정이다.

15:20~15:25
개회
윤인규 

감염병혁신연합(CEPI) 프로그램 및 혁신기술 국장 

15:25~15:40
CEPI 100일 미션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15:40~15:55
IVI와 CEPI 간의 협력 활동
Jerome H. Kim

국제백신연구소(IVI) 사무총장

15:55~16:10
한국의 팬데믹 대응 백신개발 노력
이기은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장

16:10~16:20
CEPI의 공중보건 체계 기여 
Emanuele Montomoli 

Vismederi 대표 겸 최고과학책임자

16:20~16:30 
기업과의 협력 : Bio Farma
Shadiq Akasya

인도네시아 Bio Farma 대표

16:30~16:40 

기업과의 협력 : SK 바이오사이언스 

박진선

한국 SK 바이오사이언스 본부장

16:40~16:50 
학계와의 협력
Trent Munro 

산업 교수 & 그룹리더 

호주 바이오공학 & 나노기술 연구소(AIBN), 

퀸즈랜드 대학교

16:50~17:10 
패널토론 

[좌장]

Kate Kelland

감염병혁신연합(CEPI) 수석과학작가


[패널]

Trent Munro   

산업 교수 & 그룹리더 

호주 바이오공학 & 나노기술 연구소(AIBN), 

퀸즈랜드 대학교


Emanuele Montomoli 

Vismederi 연구개발센터 회장 


Shadiq Akasya 

인도네시아 Bio Farma 대표 


박진선 

한국 SK 바이오사이언스 본부장

17:10~17:20
폐회 (결론 및 단체사진)
Jerom H. Kim

국제백신연구소(IVI) 사무총장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폐회식
11월 21일(화)
17:30~18:00
그랜드볼룸, 3층

이틀에 걸쳐 열린 「2023 세계 바이오 서밋」에서 반추된 미래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전략수립 및 글로벌협력, 중·저소득국의 감염병 대응수단 접근성 증대를 위한 권역별(regional)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 및 R&D 허브 모델, 기업·시민사회·국제기구·정부 협력을 통한 글로벌 보건안보을 동 세션을 통해 다시 살펴볼 것이다. 백신과 바이오헬스의 기술혁신을 위한 최적의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모든 사람, 국가, 지역이 배제되지 않는 연대를 바탕으로 조화로운 국제협력을 기반으로 미래 팬데믹을 예방, 준비, 대응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측면이 강조될 것이다.

17:30~17:32
세션 주요 내용 소개

Isabel Oliver

영국 질병청 과학책임자

17:32~17:52
세션별 브리핑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 보건국장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HERA) 총국장(대행)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Kate Kelland

감염병혁신연합(CEPI) 수석과학작가

17:52~17:55
서밋 현장 스케치 사진 영상 상영
17:55~18:00
폐회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11월 21일 프로그램


09:00~11:00

세션 2. 팬데믹 대응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가속화파크볼룸, 5층

13:00~15:00

세션 3. 글로벌 체외진단 산업의 성장을 위한
            국제적 지원 방향성과 한국의 역할
파크볼룸, 5층

15:20~17:20

세션 4. 감염병혁신연합(CEPI) 100일 미션을 통한
           글로벌 대응능력 강화
그랜드볼룸, 3층

17:30~18:00


폐회식
그랜드볼룸, 3층
[ 세션2 ] 팬데믹 대응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가속화
11월 21일(화) 09:00~11:00    I   파크볼룸, 5층


코로나19 글로벌 공중보건 위기 동안, 특정 국가와 제약사는 단시간에 치료제를 개발하였다. 팬데믹 이후, 치료제 개발, 생산, 공급 전반에 걸친 기술 혁신과 글로벌 협력 강화에 대한 노력이 필요하다는 전 세계적인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신종 감염병의 확산을 지연시키기 위해서는 치료제의 적시 개발, 제조, 공급이 중요하며, 이를 구현하기 위한 국제적인 노력과 협력이 요구된다. 본 세션에서는 '팬데믹 치료제 개발 및 생산 가속화'라는 주제로, 바이오산업 대표, 정부, 국제기구, 국제 재단, 글로벌 전문가 등 다양한 분야의 참가자가 참석하여 신종 감염병 치료제 관련 미래 전략과 비전을 제시하고, 넥스트 팬데믹 대비를 위한 글로벌 투자 정책 등을 공유할 예정이다.


시간
프로그램
연사
09:00~09:10
개회
장희창

국립감염병연구소 소장

09:10~09:20
세부 내용 소개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HERA) 총국장(대행)
09:20~09:50
감염병 팬데믹 대비 대응 역량강화

Carmen Pérez Casas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PPPR팀 매니저


Jicui Dong

세계보건기구(WHO) 규제 및 사전 인증 부서(RPQ) 

지역 생산 및 지원부 부장

09:50~10:30
치료제 개발, 생산, 공급 경향 및 
글로벌 치료제 연구 협력 다변화 전략

묵현상

한국 국가신약개발재단(KDDF) 단장


Seamus O'Brien

항생제 연구개발 파트너쉽(GARD-P) R&D 총괄책임자


이수영

한국 셀트리온 전무


Petro Terblanche

아프리젠 대표
10:30~10:50
치료제 개발 역량강화 가속화를 위한 글로벌 협력

[좌장]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HERA) 총국장(대행)


[패널]

Hayato Urabe

일본 글로벌헬스기술진흥기금(GHIT) 부대표


Carmen Pérez Casas

국제의약품구매기구(Unitaid) PPPR팀 매니저


Jicui Dong

세계보건기구(WHO) 규제 및 사전 인증 부서(RPQ) 내 

지역 생산 및 지원부 부장


묵현상

한국 국가신약개발재단(KDDF) 단장


Seamus O'Brien

항생제 연구개발 파트너쉽(GARD-P) R&D 총괄책임자


이수영

한국 셀트리온 전무


Petro Terblanche

아프리젠 대표
10:50~11:00
폐회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HERA) 총국장(대행)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세션3 ] 글로벌 체외진단 산업의 성장을 위한 국제적 지원 방향성과 한국의 역할
11월 21일(화) 13:00~15:00    I   파크볼룸, 5층


코로나19 팬데믹이 마무리되어 가는 가운데 세계보건기구(WHO) 제76차 세계보건총회(‘23년 5월)에서 진단분야 글로벌 보건 역량 강화를 위한 의제가 통과됨에 따라, 국제진단연합(International Diagnostic Alliance) 형성 등의 국제적인 논의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한국이 취하게 될 방향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 특히 한국은 정부, 산업계, 유관학회와 유기적인 협력을 바탕으로 조기에 전국적으로 코로나19 진단검사를 정착시킨 과정과 경험을 가지고 있어 전 세계가 미래의 감염병 대응에 있어서 한국의 역할에 주목하고 있다. 


나아가 한국의 진단검사 역량은 미래 감염병 대응체계 강화 및 글로벌 보건 형평성 증진을 위한 노력에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는 잠재력이 큰 것으로 국제적으로 인정받고 있다. 이에 따라 진단으로 감염병 확산에 성공적으로 대응한 한국이 전세계 보건의료체계에서 가지는 기대 역할을 탐색해 보고자 한다.


시간
프로그램
연사
13:00∼13:05
축사
Youk Sambath
캄보디아 보건부 차관
13:05∼13:10
미래 글로벌 보건 및 감염병 대응체계에서 진단기기의 중요성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13:10~13:20
차세대 시장 형성 접근법과 확대되는 진단의 역할

Hui Yang

글로벌펀드 공급운영국장

13:20~13:30
진단기기 AI기술 활용 글로벌 동향 

Ricardo Baptista Leite

헬스에이아이(HealthAI) 대표

13:30~13:40
진단분야 WHA 결의안에 따른 진단 역량 강화

Catharina Boehme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차장


13:40~14:05
진단분야 WHO 의제에 따른 한국의 역할

[좌장]

이훈상

국제보건기술연구기금(RIGHT Foundation) 이사


[패널]

Catharina Boehme 

세계보건기구(WHO) 사무차장


Marta Fernández Suárez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최고기술경영자


Nqobile Ndlovu

아프리카 진단검사의학회 대표


이상원

질병관리청 감염병진단분석국장

14:05~14:15
체외진단의료기기 품질 향상을 위한 지원 방안

이승용

식품의약품안전처 혁신진단기기정책과장

14:15~14:25
국내 진단검사의 우수성과 각국 학회 간 협력방안

윤여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학술이사

14:25~14:50
전 세계 진단 개발·생산 촉진을 위한 한국의 협력방안

[좌장]

황성은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의료기기화장품산업단장


[패널]

이승용

식품의약품안전처 혁신진단기기정책과장


윤여민

대한진단검사의학회 학술이사


박한오

한국 바이오니아 대표


김성열

한국 씨젠 글로벌마케팅센터장


14:50~15:00
폐회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세션4 ] 감염병혁신연합(CEPI) 100일 미션을 통한 글로벌 대응능력 강화 
11월 21일(화) 15:20~17:20    I   그랜드볼룸, 3층


팬데믹 뿐만 아니라 엔데믹에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CEPI 100일 미션 이행에 대해 논의하고 실행 전략을 세우고자 한다. CEPI 100일 미션은 기업, 학계, 정부 및 국제기구를 포함한 주요 이해관계자들 간의 협력을 촉진할 것이다. 본 세션에서는 CEPI 100일 미션에 대해 발표하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의 지원 및 관심을 촉구할 예정이다.


시간
프로그램
연사
15:20~15:25
개회
윤인규
감염병혁신연합(CEPI) 프로그램 및 혁신기술 국장
15:25~15:40
CEPI 100일 미션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15:40~15:55
IVI와 CEPI 간의 협력 활동

Jerome H. Kim 

국제백신연구소(IVI) 사무총장

15:55~16:10
한국의 팬데믹 대응 백신개발 노력

이기은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장

16:10~16:20
CEPI의 공중보건 체계 기여
Emanuele Montomoli

Vismederi 대표 겸 최고과학책임자

16:20~16:30
기업과의 협력: Bio Farma

Shadiq Akasya 

인도네시아 Bio Farma 대표

16:30~16:40
기업과의 협력: SK 바이오사이언스

박진선 

한국 SK 바이오사이언스 본부장

16:40~16:50
학계와의 협력

Trent Munro 

산업 교수 & 그룹 리더
호주 바이오공학 & 나노기술 연구소(AIBN),

퀸즈랜드 대학교

16:50~17:10
패널토론

[좌장]

Kate Kelland 

감염병혁신연합(CEPI) 수석과학작가


[패널]

Trent Munro

산업 교수 & 그룹 리더
호주 바이오공학 & 나노기술 연구소(AIBN),

퀸즈랜드 대학교


Emanuele Montomoli

Vismederi 대표 겸 최고과학책임자


Shadiq Akasya 

인도네시아 Bio Farma 대표


박진선 

한국 SK 바이오사이언스 본부장

17:10~17:20
폐회

(결론 및 단체사진)

Jerome H. Kim 

국제백신연구소(IVI) 사무총장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폐회식
11월 21일(화) 17:30~18:00    I   그랜드볼룸, 3층


이틀에 걸쳐 열린 「2023 세계 바이오 서밋」에서 반추된 미래 팬데믹 대응을 위한 전략수립 및 글로벌협력, 중·저소득국의 감염병 대응수단 접근성 증대를 위한 권역별(regional) 백신·바이오의약품 생산 및 R&D 허브 모델, 기업·시민사회·국제기구·정부 협력을 통한 글로벌 보건안보를 동 세션을 통해 다시 살펴볼 것이다. 백신과 바이오헬스의 기술혁신을 위한 최적의 투자 전략을 수립하고, 모든 사람, 국가, 지역이 배제되지 않는 연대를 바탕으로 조화로운 국제협력을 기반으로 미래 팬데믹을 예방, 준비, 대응 전략이 수립되어야 한다는 측면이 강조될 것이다.


시간
구분
연사
17:30~17:32
세션 주요 내용 소개
Isabel Oliver 

영국 질병청 과학책임자

17:32~17:52
세션별 브리핑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Laurent Muschel

유럽연합 보건비상대응기구(HERA) 총국장(대행)

Willo Brock  

혁신적진단기기재단(FIND) 부총재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Kate Kelland 

감염병혁신연합(CEPI) 수석과학작가

17:52~17:55
서밋 현장 스케치 영상 상영
17:55~18:00
폐회

박민수

보건복지부 제2차관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2023 세계 바이오 서밋 사무국

E-mail: worldbiosummit@gmail.com

@Copyright WORLD BIO SUMMIT 2023. All Right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