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 세계 바이오 서밋

프로그램

11월 21일 부대행사 프로그램

09:00 ~

10:45

부대행사 세션 1. 한-CEPI R&D 

워크샵 (비공개)

그랜드볼룸, 3층


13:00 ~

15:00

부대행사 세션 2. 한-ADB 인사이트 세미나


그랜드볼룸, 3층


[부대행사 세션1]
한-CEPI R&D 워크샵(비공개)
 11월 21일(화)
9:00~10:45
 그랜드볼룸, 3층

주제

한국의 백신 연구 개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백신·바이오 리더들이 넥스트 팬데믹 대응방안으로'백신 개발 기간 100일'을 목표로 잡았다. 세계가 공동 위협에 맞서 백신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글로벌 R&D 협력과 국제공조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세션에서는 감염병혁신연합(CEPI)와 백신 개발 관련 유망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의 여러 기업과의 지속적인 긴밀한 협력 및 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 혁신 기술사례와 추진전략을 공유하고자 기획되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감염병혁신연합(CEPI)은 빌&멜린다게이츠재단 및 웰컴트러스트 등 각국 정부 및 자선기금으로부터의 공여를 통해 전 세계 백신기업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보건 전문기구이며, 백신 개발기업, 생산기업, 원부자재 기업을 연계하는 공동시장인 코백스마켓플레이스(COVAX marketplace)를 통해 백신 기업의 협업을 촉진하여 전 세계 백신 공급의 가속화를 견인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20년 감염병혁신연합(CEPI)에 가입하여,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매년 300만 달러의 지원을 한 바 있으며, 2,400만 달러 추가 공여를 약속

09:00~09:10
개회

차순도

한국 보건산업진흥원 원장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09:10~09:15
기념촬영
09:15~09:30
CEPI의 신종감염병
백신 라이브러리

윤인규

감염병혁신연합(CEPI) 프로그램 및 혁신기술 국장

09:30~09:40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개발 백신의 현황 및 향후 계획

김도근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감염병백신연구과장

09:40~09:50
SKBS의 mRNA 플랫폼과 그 이상

신진환

SK 바이오사이언스 실장

09:50~10:00
자체 mRNA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100일 신속 백신 생산 및 공급 전략

양주성

에스티팜 전무

10:00~10:10
바이러스 유사 단백질 나노입자 
플랫폼 기반 신규 합성항원 백신의 신속 개발 및 생산

최덕영

(주)인테라 대표

10:10~10:20
Green technology 기반 
불활화백신 신규 플랫폼

문세라

(주)그린백스 대표

10:20~10:30
마이크로니들: 
새로운 백신 전달 기술 플랫폼

강정연

(주)쿼드메디슨 연구소장

10:30~10:40
토론 및 질의응답

[좌장]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윤인규

감염병혁신연합(CEPI) 프로그램 및 혁신기술 국장


김도근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감염병백신연구과장


신진환

SK 바이오사이언스 실장


양주성

에스티팜 전무


최덕영

(주)인테라 대표


문세라

(주)그린백스 대표


강정연

(주)쿼드메디슨 연구소장

10:40~10:45
폐회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부대행사 세션2]
한-ADB 사이드 세션 : 
기후 변화 시대, 바이오 섹터가 응답하다
 11월 21일(화)
13:00~15:00
 그랜드볼룸, 3층

주제

기후 변화 시대, 바이오 섹터가 응답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기후 변화를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건강 위협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전 세계 보건시스템은 기후 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보건 환경 결정 요인에 대응하는 데에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원헬스(One-Health) 관점에서 기후 변화 대응과 지역별 보건 인프라 구축 전략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13:00~13:05
개회, 세션 및 참석자 소개

Sungsup Ra 

아시아개발은행(ADB) 부그룹장

13:05~13:15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후 완화: 
탈탄소화 백신, 제약, 진단기기 및 제조 공급망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13:15~13:25
동물 건강 및 탄소 배출

Sanjeev Kumar Balyan

인도 축산낙농부 장관

13:25~13:35
기후 및 보건 조치를 위한 
투자 프레임워크

Tamer Rabie

세계은행(World Bank) 보건부 수석보건전문가

13:35~13:45
기후탄력적 보건시스템 구축을 위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후 변화 적응 전략

Jemilah binti Mahmood

말레이시아 

Sunway Centre for Planetary Health 교수

13:45∼13:55
지속 가능한 탈탄소 백신, 의약품 및 진단기기 제고 - 실현가능한 규제방안은 무엇인가?

John Skerritt

멜버른대학 교수

13:55~14:15
벡신, 의약품, 진단기기 제조 공급망의 탈탄소화 관련 사례 발표

Sudeep Kumar 

인도 Biological E 부대표


Syed S Ahmed 

인도 Techno invention 대표

14:15∼14:55
원헬스와 기후 탄력성, 
지속 가능한 저탄소 의료 구축

[좌장] 

Brian Riley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전문가

 

[패널] 

 Abhijit Mitra 

 인도 축산낙농부 위원(Commissioner)


 Ehsanul Kabir 

 방글라데시 

Essential Drugs Company Limited 대표 


 Meelan Thondoo 

 세계보건기구(WHO) Asia-Pacific Centre 

기술책임자 


 [보고] 

김재균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전문가

14:55∼15:00
폐회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11월 21~20일 부대행사 프로그램

글로벌 비즈니스라운지

11월 20일(월) 12:00~18:00

11월 21일(화) 09:00~18:00

 스튜디오8~10

개요

정부 및 국제기구,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 등 서밋 참석자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비즈니스 라운지 조성


참석

글로벌 :ADB, FIND, CEPI 등 국제기구, 기관 및 기업 담당자 등

국내기업 : 국내 백신‧제약바이오기업 유관 관계자 등

비즈니스 파트너링

11월 20일(월) 15:30~18:00

11월 21일(화) 09:00~16:50 

 스튜디오 4
전면 부스

개요

해외 정부, 국제기구, 글로벌 제약사 등 주요 인사와 국내 기업 간 사전 수요조사를 통한 비즈니스 파트너링 운영

* 글로벌펀드, FIND, 라이트펀드 등 국제기구·재단 등의 국내 기업 면담 수요 반영


참석

글로벌 : ADB, FIND, CEPI 등 국제기구, 기관 및 기업 담당자 등

국내기업 : 국내 백신‧제약바이오기업 유관 관계자 등

한국보건산업진흥원-라이트재단-FIND 
공동 주최 한국 체외진단의료기기기업 네트워킹 오찬

11월 21일(화) 11:30~13:00

 스튜디오8~10

개요

기업 수요가 높은 라이트재단 및 FIND 연구개발 과제 설명회 개최를 통해 국내 진단기기 기업 대상 글로벌 정보 제공 및 네트워킹

11:10~11:10
개회사

진흥원

11:10 ~ 12:00

라이트재단 소개 및 과제 공모 설명

FIND 소개 및 주요사업

(바이오뱅크 등)

라이트재단

FIND

12:00 ~
네트워킹

국내 체외진단 기업 등


11월 21일 부대행사 프로그램


09:00~10:30

부대행사 세션 1. 한-CEPI R&D 워크샵 (비공개)그랜드볼룸, 3층

13:00~15:00

부대행사 세션 2. 한-ADB 사이드 세션:
                         기후 변화 시대, 바이오 섹터가 응답하다
그랜드볼룸, 3층
[ 부대행사 세션1 ] 한-CEPI R&D 워크샵 (비공개)
11월 21일(화) 09:00~10:45    I   그랜드볼룸, 3층


주제

한국의 백신 연구 개발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세계 백신·바이오 리더들이 넥스트 팬데믹 대응방안으로'백신 개발 기간 100일'을 목표로 잡았다. 세계가 공동 위협에 맞서 백신 개발을 가속화하기 위해 글로벌 R&D 협력과 국제공조의 중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에 본 세션에서는 감염병혁신연합(CEPI)과 백신 개발 관련 유망기술을 보유하고 있는 한국의 여러 기업과의 지속적인 긴밀한 협력 및 지원을 촉진하기 위해 국내 혁신 기술사례와 추진전략을 공유하고자 기획되었다.

이 프로그램에 참여한 감염병혁신연합(CEPI)은 빌&멜린다게이츠재단 및 웰컴트러스트 등 각국 정부 및 자선기금으로부터의 공여를 통해 전 세계 백신기업에 투자를 진행하고 있는 보건 전문기구이며, 백신 개발기업, 생산기업, 원부자재 기업을 연계하는 공동시장인 코백스마켓플레이스(COVAX marketplace)를 통해 백신 기업의 협업을 촉진하여 전 세계 백신 공급의 가속화를 견인하고 있다.

 * 우리나라는 2020년 감염병혁신연합(CEPI)에 가입하여,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년간 매년 300만 달러의 지원을 한 바 있으며, 2,400만 달러 추가 공여를 약속


시간
프로그램
연사
09:00~09:10
개회

차순도

한국보건산업진흥원 원장


Jane Halton

감염병혁신연합(CEPI) 이사회 의장

09:10∼09:15
기념촬영
09:15∼09:30
CEPI의 신종감염병 백신 라이브러리

윤인규

감염병혁신연합(CEPI) 프로그램 및 혁신기술 국장

09:30∼09:40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개발 백신의 현황 및 향후 계획

김도근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감염병백신연구과장

09:40∼09:50
SKBS의 mRNA 플랫폼과 그 이상

신진환

SK 바이오사이언스 실장

09:50∼10:00
자체 mRNA 플랫폼 기술을 적용한
100일 신속 백신 생산 및 공급 전략

양주성

에스티팜 전무

10:00∼10:10
바이러스 유사 단백질 나노입자 플랫폼 기반
신규 합성항원 백신의 신속 개발 및 생산

최덕영

(주)인테라 대표

10:10∼10:20
Green technology 기반 불활화백신 신규 플랫폼

문세라

(주)그랜백스 대표

10:20∼10:30
마이크로니들: 새로운 백신 전달 기술 플랫폼

강정연

(주)쿼드메디슨 연구소장

10:30~10:40
토론 및 질의응답

[좌장]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패널]

윤인규

감염병혁신연합(CEPI) 프로그램 및 혁신기술 국장


김도근

질병관리청 공공백신개발지원센터 감염병백신연구과장


신진환

SK 바이오사이언스 실장


양주성

에스티팜 전무


최덕영

(주)인테라 대표


문세라

(주)그린백스 대표


강정연

(주)쿼드메디슨 연구소장

10:40~10:45
폐회

성백린

백신실용화기술개발사업단 단장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 부대행사 세션2 ] 한-ADB 사이드 세션 : 기후 변화 시대, 바이오 섹터가 응답하다 
11월 21일(화) 13:00~15:00    I   그랜드볼룸, 3층


주제

기후 변화 시대, 바이오 섹터가 응답하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기후 변화를 인류가 직면한 가장 큰 건강 위협요인으로 보고 있으며, 전 세계 보건시스템은 기후 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보건 환경 결정 요인에 대응하는 데에 점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본 세션에서는 원헬스(One-Health) 관점에서 기후 변화 대응과 지역별 보건 인프라 구축 전략에 대해 논의할 예정이다.


시간
프로그램
연사
13:00~13:05
개회

나성섭

아시아개발은행(ADB) 부그룹장

13:05~13:15
바이오헬스 분야의 기후 완화: 
탈탄소화 백신, 제약, 진단기기 및 제조 공급망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13:15~13:25
동물 건강 및 탄소 배출

Sanjeev Kumar Balyan

인도 축산낙농부 장관

13:25~13:35
기후 및 보건 조치를 위한 투자 프레임워크

Tamer Rabie

세계은행(World Bank) 보건부 수석보건전문가

13:35~13:45
기후탄력적 보건시스템 구축을 위한 
아시아 태평양 지역의 기후 변화 적응 전략

Jemilah binti Mahmood

말레이시아 Sunway Centre for Planetary Health 교수

13:45~13:55
지속 가능한 탈탄소 백신, 의약품 및 진단기기 제조
- 실현가능한 규제방안은 무엇인가?

John Skerritt

멜버른대학 교수

13:55~14:15
백신, 의약품, 진단기기 제조 공급망의 탈탄소화 관련 사례 발표

Sudeep Kumar

인도 Biological E 부대표


Syed S Ahmed

인도 Techno invention 대표

14:15∼14:55
원헬스와 기후 탄력성, 지속 가능한 저탄소 의료 구축

[좌장]

Brian Riley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전문가


[패널]

Abhijit Mitra

인도 축산낙농부 위원(Commissioner)


Ehsanul Kabir

방글라데시 Essential Drugs Company Limited 대표


Meelan Thondoo

세계보건기구(WHO) Asia-Pacific Centre 기술책임자


[보고]

김재균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전문가

14:55∼15:00
폐회

Patrick Osewe

아시아개발은행(ADB) 보건국장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11월 21~20일 부대행사 프로그램

글로벌 비즈니스라운지
11월 20일(월) 12:00~18:00    I   스튜디오 8~10

11월 21일(화) 09:00~18:00


개요

정부 및 국제기구, 국내외 제약·바이오 기업 등 서밋 참석자 간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비즈니스 라운지 조성


참석

글로벌 : ADB, FIND, CEPI 등 국제기구, 기관 및 기업 담당자 등

국내기업 : 국내 백신‧제약바이오기업 유관 관계자 등


비즈니스 파트너링
11월 20일(월) 15:30~18:00    I   스튜디오 4 전면부스

11월 21일(화) 09:00~16:50


개요

해외 정부, 국제기구, 글로벌 제약사 등 주요 인사와 국내 기업 간 사전 수요조사를 통한 비즈니스 파트너링 운영

* 글로벌펀드, FIND, 라이트펀드 등 국제기구·재단 등의 국내 기업 면담 수요 반영


참석

글로벌 : ADB, FIND, CEPI 등 국제기구, 기관 및 기업 담당자 등

국내기업 : 국내 백신‧제약바이오기업 유관 관계자 등


한국보건산업진흥원-라이트재단-FIND 공동 주최 한국 체외진단의료기기기업 네트워킹 오찬
11월 21일(화) 11:10~12:40    I   스튜디오 8~10


개요

기업 수요가 높은 라이트재단 및 FIND 연구개발 과제 설명회 개최를 통해 국내 진단기기 기업 대상 글로벌 정보 제공 및 네트워킹


시간
일정
비고(발표)
11:10 ~ 11:12
개회사
한국보건산업진흥원
11:12 ~ 11:15
라이트재단 소개 및 과제 공모설명

라이트재단

FIND 소개 및 주요사업(바이오뱅크 등)

FIND

12:00 ~
네트워킹

국내 체외진단 기업 등

* 시간과 내용은 변경될 수 있습니다.



2023 세계 바이오 서밋 사무국

E-mail: worldbiosummit@gmail.com

@Copyright WORLD BIO SUMMIT 2023. All Right Reserved.